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- TDD
- permutations
- AWS
- Python
- stack&que
- HTTP 완벽 가이드
- stateful
- postreSQL
- was
- combinations
- 백준
- dictionary
- Unit Testing
- ws
- utils
- codecov
- Git
- ORM
- stateless
- Django
- greedy
- SQL
- pytest
- Gunicorn
- Query
- Bruteforce
- Q objects
- Stack
- algorithm
- Programmers
- Today
- Total
목록Python (21)
해피 코딩!
문제 링크 def solution(a, b): answer = 0 for a_var, b_var in zip(a, b): result = a_var * b_var answer += result return answer
해당 문제 링크 def solution(progresses, speeds): answer = [] while progresses: for index, value in enumerate(progresses): progresses[index] += speeds[index] cnt = 0 while progresses and progresses[0] >= 100: progresses.pop(0) speeds.pop(0) cnt += 1 if cnt: answer.append(cnt) return answer 정말 매번 고민하지만 너무 어렵게 생각하는 것 같다.. 결국 인터넷을 참고하여 문제를 풀게 되었으며 답을 보게 되면 왜 이렇게 생각을 못하였는지 항상 아쉬움이 남는다.
문제 링크 def solution(arr): answer = [arr[0]] for index in arr[1:]: if index == answer[-1]: pass elif index != answer[-1]: answer.append(index) return answer
해당 문제 링크 ```python def solution(n): answer = 0 n_number = '' # 진법을 계산하는 알고리즘을 인터넷을 통해 알게 되었다. while n >0: div = n // 3 mod = n % 3 n_number += str(mod) n = div value = 0 for index, i in enumerate(n_number[::-1]): if index == 0: answer += int(i) value = 3 else: answer += int(i) * value value *= 3 return answer ```
기존에 본인이 개발을 하면서 지켜왔던 TDD라는 개념이 한 기업과의 기술면접에서 틀리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다시 한번 TDD의 개념을 재정립 하기 위하여 본 내용을 작성합니다. 파이썬을 이용한 클린 코드를 위한 테스트 주도 개발 본 책의 내용을 정리하며 TDD가 무엇인지 다시 한번 고민해봅니다. 프로그래밍은 정말 어려운 작업이다. 종종 똑똑한 사람들이 성공하는 경우가 있다. TDD는 똑똑하지 못한 우리들을 도와주기 위해 존재한다. 켄트 벡(TDD를 고안한 사람)은 우물가에 있는 물 뜨는 두레박을 비유로 들어 설명한다. 우물이 깊지 않으면 두레박도 꽉 차지 않아서 퍼 올리는 것이 쉽다. 가득 차 있다고 해도 처음 몇 번은 쉽게 할 수 있다.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곧 지치기 시작한다. 하지만 이 때 도르래..